검체 채취시 지정용기를 사용하여 주십시오.
부정확한 검채 채쥐와 취급방법으로 인해 검사결과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검체채취방법
소변(Urine) 채취방법
일반 요 검사 (random urine)
- 아침 첫 소변의 중간뇨(특히, 임신반응검사)가 농축되어 있으므로 일반적인 검사에 가장 적하고, 반드시 식후 2시간 이상 경과하고 심한 운동을 하지 않은 때에 채취하십시오.
- 남자는 포피가 없는 자는 그대로, 포피가 있는 자는 음경귀두를 노출시켜 힘차게 배뇨시켜 앞의 반은 버리고 후반의 요를 채뇨 하십시오.
- 성인 여자의 채뇨는 질, 외음부에서 유래한 성분의 혼입을 절대로 피하기 위하여 외음부 주위를 깨끗이 세척하고 음순을 손으로 벌려서 힘차게 배뇨시켜 중간뇨를 취합니다.
24시간 요 검사(24hrs urine/day urine)
- 지정된 시간(예, 오전 9:00)에 환자에게 소변을 보게 하여 버리고, 그 후부터 다음날 지정된 시간(오전 9:00)까지의 모든 소변과 마지막에 본 소변을 함께 용기에 받습니다.
- 총 소변량(Toral volume)을 반드기 기입하여 이 중 20 ~ 50mL 정도의 검체요를 검체 지정 후 담당직원에게 전달 해 주십시오.
요 보존제 종류
보존제 | 보존제량 | 특징 |
---|---|---|
툴루엔(Toluene) | 2mL / 100mL Urine | 화학적인 성분 보존에 좋으며 표면에 도포되므로 공기의 출입은 막으나 미생물의 증식은 막지 못합니다.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여러 가지 화학검사에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. |
티몰(Thymol) | 작은 결정체(직경 5mm) /100mL Urine | 세균이나 효모발육을 억제시킵니다. 과량 투입 시 단백침전 검사에 위양성을 나타내며 답즙검사에도 영향을 미칩니다. |
포르말린(Formalin) | 한방울 / 10mL Urine | 세포고정 및 보존에 효과적입니다. 과량을 가하면 urea를 침전시켜 요침사 및 요화학검사를 방해합니다. |
6N 염산(HCl) | 2mL / 100mL Urine | 보통 뇨는 pH6.0-7.0전후(약산성)이며, 방치해 두면 요중에 암모니아가 증가하여 알칼리로 변성됩니다. 알칼리 물질은 Catecholamine등의 물질을 분해하므로 산성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염산(6N HCl)을 넣을 필요가 있습니다. |
50% 아세트산(Acetic acid) | 1.7mL / 100mL Urine | 호르몬 검사에 사용됩니다. |
붕산(Boric acid) | 5mg / 30mL Urine | 요 검체 중 세균의 보존 시 사용되며 과량을 가하면 배양 시에 균이 잘 자라지 못하게 됩니다. 또한 요산을 침전시키는 단점이 있습니다. |
검사항목별 사용가능한 요 보존제안내
※ : 보존제 필수항목, 권장 : 가장 우선시 되는 보존제, O : 가능
검사항목 | 무첨가 | 6N HCl | Toluene | 50% Acetic acid |
Boric Acid | Na2CO3 | HNO3 | 보존 및 운송조건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Aldosterone | 필수 | 냉장보관 | ||||||
Aluminum(AI) | ◯ | ◯ | ◯ | ◯ | ◯ | 냉장보관 | ||
Arsenic(As) | 필수 | 냉장/동결가능 | ||||||
δ-ALA | ◯ | 필수 | 차광/냉장보관 | |||||
BUN | 필수 | 냉장/동결가능 | ||||||
Cadmium(Cd) | 필수 | 냉장보관 | ||||||
Calcium(Ca) | 필수 | ◯ | ◯ | ◯ | ◯ | ◯ | 냉장/동결가능 | |
Catecholamine ※ | 필수 | 냉장/동결가능 | ||||||
Chloride(CI) | 필수 | 냉장/동결가능 | ||||||
Chromium(Cr) | 필수 | 냉장보관 | ||||||
Citrate | ◯ | 필수 | ◯ | ◯ | ◯ | 냉장보관 | ||
Cobalt(Co) | ◯ | 냉장보관 | ||||||
Copper(Cu) | 필수 | ◯ | ◯ | ◯ | ◯ | ◯ | 냉장보관 | |
Coproporphyrin ※ | 필수 | 차광/냉장보관 | ||||||
Cortisol, Free | 필수 | ◯ | 냉장보관 | |||||
Creatine | 필수 | ◯ | 냉장보관 | |||||
Creatinine | 필수 | 냉장/동결가능 | ||||||
Cyclic AMP(cAMP) | ◯ | 동결보관 | ||||||
Estriol(E3) | ◯ | 동결보관 | ||||||
Estrogen | ◯ | 동결보관 | ||||||
HVA(Homovanillic Acid) ※ | 필수 | 냉장/동결가능 | ||||||
5-HIAA ※ | 필수 | ◯ | ◯ | ◯ | ◯ | ◯ | 냉장/동결가능 | |
Hydroxyproline, free | ◯ | 동결보관 | ||||||
Hydroxyproline, total | ◯ | 동결보관 | ||||||
17-OHCS | 필수 | ◯ | ◯ | 냉장보관 | ||||
17-Ketosteroids | 필수 | ◯ | ◯ | 냉장보관 | ||||
Lead(Pb) | 필수 | 냉장보관 | ||||||
Magnesium(Mg) | 필수 | ◯ | ◯ | ◯ | ◯ | 냉장/동결가능 | ||
Mangane(Mn) | 필수 | 냉장보관 | ||||||
Methylmalonic Acid | 필수 | 동결보관 | ||||||
Mercury(Hg) | 필수 | 냉장보관 | ||||||
Metanephrine ※ | 필수 | 냉장/동결가능 | ||||||
Microalbumin | 필수 | 냉장/동결가능 | ||||||
Osmolality | 필수 | 냉장/동결가능 | ||||||
Oxalate | ◯ | 필수 | ◯ | ◯ | ◯ | ◯ | 냉장보관 | |
Phosphate | 필수 | 냉장보관 | ||||||
Porphobilinogen | ◯ | 차광/냉장보관 | ||||||
Potassium(K) | 필수 | 냉장보관 | ||||||
Protein, Total | 필수 | ◯ | ◯ | 냉장보관 | ||||
Protein E.P | 필수 | ◯ | 냉장보관 | |||||
Sodium(Na) | 필수 | 냉장보관 | ||||||
Uric acid | 필수 | ◯ | ◯ |   | 냉장/동결가능 | |||
VMA(Vanillymandelic Acid) ※ | 필수 | 냉장보관 | ||||||
Zinc(Zn) | 필수 | ◯ | ◯ | ◯ | ◯ | ◯ | 냉장보관 |